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개발자 취업
- 디자인패턴
- 빈 조회 2개 이상
- 코딩테스트 준비
- 99클럽
- DesignPattern
- KPT회고
- 구글 OAuth login
- 디자인 패턴
- 단기개발자코스
- 커스텀 헤더
- 1주일회고
- 전략패턴 #StrategyPattern #디자인패턴
- 개발자부트캠프추천
- 항해99
- Spring multimodule
- jwttoken
- infcon 2024
- 빈 충돌
- JavaScript
- jwt
- TiL
- 프로그래머스 이중우선순위큐
- 취업리부트코스
- @FeignClient
- Python
- 인프콘 2024
- 파이썬
- spring batch 5.0
- 프로그래머스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92)
m1ndy5's coding blog
https://www.acmicpc.net/problem/8393 n = int(input()) s = 0 for i in range(1, n+1): s += i print(s)이 문제의 포인트는 sum 변수를 0으로 초기화 해주고 for문의 range를 1부터 n까지 설정해주는 것이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EVgHr/btr0GaW0FXL/hEtRKT9TvPLw8U2RRK1q1K/img.png)
리눅스의 일반적인 directory 구조이다. /etc는 구성 파일, /var/log에는 로그파일, /home에는 일반 사용자 홈디렉토리, /bin에는 명령어 파일, /lib는 라이브러리 파일 등 일반적으로 각 파일의 특성에 맞게 디렉토리에 들어가 있음 ls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목록 표시 ls -l : 파일의 권한, owner, 파일 크기, 수정날짜도 보여줌 (ll로 줄여써도 됨) ls -a : 숨겨진 파일(파일앞에 .이 있는 파일)도 표시 ls -al 처럼 합쳐서 써도 됨more 한 화면에 전부 나오지 않는 긴 파일 내용을 볼 때 사용 아래로만 내릴 수 있음 (space키 사용) 다른 명령어와 함께 사용 가능 ex) cat hello | moreless more과 똑같이 긴 파일 내용을 볼 때 사용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4uZp/btr0NIkovtD/Nuv9O0DOgBALuM4FcyxiF1/img.jpg)
Vim(vi) 가장 기본적인 텍스트 편집기 명령 모드 : vi편집기를 들어갔을 때 가장 초기 모드. 키를 누르게 되면 입력이 되는 것이 아닌 명령으로 입력된다. 입력 모드 : i, o, a 등 을 누르면 파일에 텍스트를 삽입할 수 있음 esc로 명령모드로 돌아옴 ex 모드 : :를 입력하고 q, q!, wq, wq! 등을 입력하면 vi 편집기를 종료할 수 있음. 이 또한 esc로 명령모드로 돌아옴vi 편집기 명령어 :q : 변경사항이 없는 파일 나갈 때 :q! : 변경사항이 있지만 저장안하고 나갈 때 :wq : 변경사항 저장하고 나가기 :wq! : 변경사항 저장하고 강제 나가기 gg: 처음으로 G: 제일 끝으로 (숫자)dd: (숫자)줄 지우기 x: 커서 위치 문자 삭제 18G: 18번 줄로 이동 /key..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BfxCz/btr0HxYBi7R/BnaiOgrvNlOvzRv1eIDrN1/img.png)
사용자 계정 사용자 계정 정보가 로컬에 저장되면 /etc/passwd 파일에 저장됨 ubuntu: x :1000:1000:Ubuntu:/home/ubuntu:/bin/bash 사용자: 패스워드 : UID : GID : 주석: 홈 디렉토리 : 기본 셸 패스워드에 x의 뜻은 패스워드가 /etc/shadow에 암호화되어 저장되어 있다는 의미 root의 UID GID는 0 기본적으로 bash 셸을 사용하지만 각 계정의 특징이 따라 /usr/sbin/nologin, /bin/false 등으로 표기되기도 함useradd 사용자 계정 추가 /home에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가 만들어짐 useradd 주석을 달고 싶다면 -c를 붙여주면 됨 ex) useradd -c "owner" mindyo 계정 만료 시간을 추가한다면..
whoami 현재의 계정(사용자)을 출력해줌id 유저 및 그룹 아이디를 출력해줌hostname 현재 호스트 이름을 출력해줌uptime 시스템이 마지막으로 부팅된 이후 가동된 시간을 출력해줌date 현재 날짜와 시간 출력해줌cal 간단한 달력 출력. 인수 지정 없으면 현재가 출력됨clear 터미널 화면에 출력값이 많아 지저분할 때 화면을 지워줌echo 따옴표 안의 문자열을 표시 ex) echo 'hello'history 사용자의 명령 기록을 보관함 /home/username/.bash_history 에 저장됨 위화살표 키를 누르면 전에 썼던 명령어를, 아래화살표 키를 누르면 그 후에 썼던 명령어를 불러옴touch 기존에 없는 파일명을 입력하면 생성 기존에 있는 파일명을 입력하면 엑세스 시간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lO3Jz/btr0xMA3da3/OUs8Zf791g5AWSKfjwVgTK/img.png)
리눅스란? 웹 서버, 클라우드, 모바일 기기, 임베디드 기기 등을 구동하는 운영체제 코드가 공개되어 있는 오픈소스여서 사용자가 수정하거나 확장할 수 있음 리눅스 디스트리뷰션 (배포판) 리눅스는 누구나 배포할 수 있고 목적에 따라 편집할 수 있는 특성이 있음 이에 따라 많은 기업들과 개발자가 용도에 맞게 편집한 리눅스를 배포해 다양한 배포판이 있음 ex) Amazon Linux, Red Hat Enterprise Linux, Debian, Ubuntu etc 구글에 linux distribution timeline을 쳐보면 다양한 리눅스 배포판들을 볼 수 있음 리눅스의 주요 구성 요소 커널 :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 제공 ex) 프로세서 시간 스케줄링, 메모리 할당, 디바이스에 액세스 등등 대몬 : 백그라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zJ9dB/btr0dlR5rVn/oMdkNd4AGyy8fvq3od6RnK/img.png)
EC2 EC2 인스턴스(가상 머신) 하드웨어 제공 Amazon Machine Images(AMI) 선택 가능 서버의 이름을 지어준다 태그를 많이 추가하면 할수록 서버의 특징을 볼 수 있어 서버가 많을 때 구분하기 쉬워짐! AMI 선택!! 선택하면 AWS가 알아서 OS까지는 세팅을 해준다! 아주 간편ㅎㅎ 유명하고 많이쓰이는 OS부터 어떤 회사가 물리적인 장비를 클라우드로 이전하고 싶은 경우 그 회사에 맞게 회사를 찾을 수 있는 aws marketplace ami도 있고 검증되진 않았지만 누구나 배포할 수 있는 커뮤니티 ami까지 있다. 하지만 커뮤니티 ami는 검증되지 않았으니 보안에 조심하기!AMI란?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템플릿 (OS 포함)AMI 장점 반복성 : 높은 효율성과 정밀도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0pv3d/btr0faoOt3h/pUbj7hOgqx1kHFtTsfhZS1/img.png)
S3 특징 AWS 스토리지 솔루션 버킷에 데이터가 객체로 저장됨 무제한 스토리지, 각 객체의 크기는 최대 5TB 99.999999999%(9가 11개) 내구성 -> 1000만년이 지나야 데이터 1개 잃어버릴까 말까 기본적으로는 데이터가 프라이빗으로 저장됨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 검색 가능 버킷이름은 전세계적으로 중복되면 안됨 보통 여러 리전에 중복으로 저장됨S3 스토리지 클래스 S3는 사용 용도에 맞는 여러가지 클래스가 있음Amazon S3 Standard 자주 액세스하는 데이터 짧은 지연 시간과 많은 처리량을 제공Amazon S3 Intelligent-Tiering 액세스 패턴을 모니터링하여 액세스하지 않은 객체는 저렴한 액세스 계층으로 자동이동시켜줌 범용과 동일하게 짧은 대기 시간과 높은 처리량 제공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4pDOj/btrZ7GuikHG/hZmk0Ab74sWzR20O609bO1/img.png)
서비스에 오류가 생겼을 때!! 어디까지가 내 책임이고 어디까지가 AWS 책임인지 알아보자~~!! AWS 책임 -> 클라우드 자체의 보안 (Responsibility for Security 'OF' the Cloud) 데이터 센터의 물리적 보안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인프라 AWS가 제공하는 서비스 자체의 오류고객 책임 -> 클라우드에서의 보안 (Responsibility for Security 'IN' the Cloud) 인스턴스 OS의 유지 관리 및 보안 계정 관리 즉 물리적 서버가 아닌 사용자가 구축한 OS에 관련된 보안 및 관리는 사용자가 해야함예시 IaaS에서의 보안 고객이 보안의 더 많은 측면을 관리해야 함(물리적 인프라 제외) ex) EC2, EBS, VPCPaaS..
AWS에서는 현재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고 계속해서 새로운 서비스들을 개발하고 있다. 이번에는 AWS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대표적인 서비스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자ㅎㅎ 스토리지 서비스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 (Amazon S3) 확장성, 데이터 가용성, 보안 및 성능을 제공하는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규모와 업종에 관계없이 원히는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보호Amazon Elastic Block Store (Amazon EBS) 사용이 쉽고 확장 가능한 고성능 블록 스토리지 서비스로서 Amazon Elastic Compute Cloud(Amazon EC2)용으로 설계 Amazon Elastic File System (Amazon EFS) 파일을 추가하고 제거할 때 자동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