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취업리부트코스
- 99클럽
- @FeignClient
- Spring multimodule
- 개발자부트캠프추천
- 항해99
- 전략패턴 #StrategyPattern #디자인패턴
- 프로그래머스
- 빈 충돌
- JavaScript
- 디자인패턴
- jwt
- spring batch 5.0
- 커스텀 헤더
- jwttoken
- 코딩테스트 준비
- 구글 OAuth login
- 단기개발자코스
- Python
- 1주일회고
- infcon 2024
- 개발자 취업
- 파이썬
- DesignPattern
- 프로그래머스 이중우선순위큐
- 인프콘 2024
- 빈 조회 2개 이상
- KPT회고
- 디자인 패턴
- TiL
Archives
- Today
- Total
m1ndy5's coding blog
AWS 인프라(매우 중요!!) 본문
인프라란?
- it환경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구성 요소
AWS 데이터 센터
- AWS 인프라의 기반 (기본 단위)
- 실제 물리적 데이터가 있고 데이터 처리가 수행됨
- 모든 데이터 센터는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음
AWS 가용 영역(AZ)
- 하나 이상의 데이터 센터로 구성됨
- 내결함성을 갖도록 설계(ex. 한 서버에서 하드웨어적인 장애가 일어나면 AWS가 자동으로 다른 서버로 옮겨줌)
- 고속 프라이빗 링크를 통해 가용 영역과 상호 연결됨
- 사용자가 가용 영역을 선택할 수 있음
- 복원성을 위해 가용 영역 간 복제가 권장됨(multi AZ)
내결함성
- 시스템의 일부 구성 요소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계속 작동할 수 있는 기능
AWS 리전
- 지리적 영역
- 두 개 이상의 AZ로 이루어짐
- 리전 간 데이터 복제 활성화 및 제어 가능(multi Region)
- 리전 간 통신은 AWS 백본 네트워크 연결 인프라를 사용
AWS 백본 네트워크
- 인터넷이 아닌 AWS가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해저 케이블)로 통신 인터넷보다 성능이 더 좋음(100Gbps)
리전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할 점
- 데이터 거버넌스, 법적 요구 사항 -> data storage의 법적여부(ex. 개인정보는 국내에 한정되어야한다)
- 고객에 대한 근접성(대기 시간)
- 리전 내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여야함
- 비용(리전별로 다르기 때문에 체크!)
상호 접속 위치(PoP)
- 엣지 로케이션과 엣지 캐시로 구성
- 더 짧은 대기 시간으로 최종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전송하는 글로벌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인 Amazon CloudFront와 함께 사용
- ex. 만약에 내가 미국에 있는 사이트에 접속하고 싶다? -> 내 위치와 가장 가까운 엣지 로케이션(리전의 기능 없음)의 cloud front를 통해서 aws backbone network를 사용하여 접속 한번 접속된 사이트는 엣지 로케이션에 캐싱(저장)됨 그러면 그 다음부터는 다른 사용자는 빠르게 접속 가능
엣지 로케이션이란?
- 리전, az와 별개로 고객 근처에 있는 시설 - cloud front(CDN), route 53(DNS), waf(web application firewall), g.a(networking), shield(anti ddos) 등등의 서비스를 제공함
AWS 인프라 기능
- 탄력성 및 확장성
- 탄력적 인프라, 동적 용량 조정
- 확장 가능한 인프라, 증가량 수용을 위해 조정 가능
내결함성
- 장애 발생 시에도 계속 정상 운영 가능
- 구성 요소의 내장된 중복성
고가용성
- 가용성 :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성질
- 고가용성 -> 가동 중단 시간의 감소로 높은 수준의 운영 성능
새롭게 생김
local zone(로컬 영역) - 리전과 조금 먼 경우 리전의 일부기능들을 사용할 수있도록 사용자 근처에 만들어 놓는 zone (속도에 민감한 기업(게임회사 등)을 위함)
wavelength zone - aws의 일부기능을 5g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통신사에 제공을 해 사용자가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
'클라우드 with AWS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공동 책임 모델 (0) | 2023.02.20 |
---|---|
AWS 대표 서비스 (0) | 2023.02.20 |
AWS(Amazon Web Service)에 대해 & AWS 요금제 (0) | 2023.02.19 |
클라우드 컴퓨팅 장점 (0) | 2023.02.19 |
클라우드 컴퓨팅 (0) | 2023.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