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1ndy5's coding blog

클라우드 컴퓨팅 본문

클라우드 with AWS/AWS

클라우드 컴퓨팅

정민됴 2023. 2. 18. 23:18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 컴퓨팅 파워,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 및 기타 IT 리소스를 온디맨드로 제공하는 것
  • 인프라를 하드웨어로 생각하지 않고 소프트웨어로 간주하고 사용할 수 있음
  • 따라서 더 쉽고 빠르게, 비용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음

    온디멘드란?

  • 요구 사항에 따라 즉시 제공/공급 하는 방식(주문형)
  • 수요에 초점을 맞춤 -> 소비자가 원하면 언제 어디서나 제공
  • AWS는 사용자가 사용하고 싶은 만큼 사용하고 사용한 만큼의 비용을 지불한다는 점에서 온디맨드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음

    클라우드 서비스 3개 모델


    왼쪽으로 갈수록 사용자가 IT 리소스 자체에 제어를 할 수 있고 오른쪽으로 갈수록 IT 리소스 자체 제어 능력이 감소함

    IaaS

  • 물리적 자원 제공
  • 사용자가 OS부터 세팅해야하고 인프라를 관리해야함
  • ex) AWS EC2

    PaaS

  • 소프트웨어 작성을 위한 OS, 미들웨어, 런타임을 미리 제공함
  • 따라서 사용자는 빠르게 코드를 배포할 수 있음
  • ex) Redhat

    SaaS

  • 사용자가 서비스의 유지 관리 방식이나 인프라의 관리 방식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없음 그냥 사용만 하면 됨
  • ex) Naver Cloud

    클라우드 배포 3가지 모델

    (퍼블릭) 클라우드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가 인프라를 소유하고 인터넷을 통해 인프라 서비스 제공
  • 모두에게 개방되어 있음 -> 프라이빗 클라우드보다 보안에 취약함
  • 장점 : 비용(하드웨어를 직접 소지하지 않아도 됨), 편리함(CSP가 인프라를 관리함)

    하이브리드

  • 중요한 정보는 프라이빗 클라우드로 운용하고 서비스 이용은 퍼블릭 클라우드로 이용
  • 애플리케이션은 안전한 환경에서 호스팅하면서(보안 굳) 퍼블릭 클라우드의 비용 절감 효과를 누를 수 있음(비용 굳)
  • 장점 : 유연성(요구 사항에 맞는 맞춤형 솔루션 설계 가능), 비용(사용량만 요금을 내면 됨), 보안(데이터가 분리되어 있어 보안 굳)

    프라이빗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 사용자가 인프라를 소유하고 사용자만 사용
  • 자체적으로 전산실 서버를 설치하고 운영 -> 비용이 많이 듦
  • 장점 : 보안(인프라의 유일한 소유자임), 제어(원하는 대로 인프라 설정 가능)

'클라우드 with AWS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대표 서비스  (0) 2023.02.20
AWS 인프라(매우 중요!!)  (1) 2023.02.19
AWS(Amazon Web Service)에 대해 & AWS 요금제  (0) 2023.02.19
클라우드 컴퓨팅 장점  (0) 2023.02.19
컴퓨팅 기본 개념  (0) 2023.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