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커스텀 헤더
- 항해99
- @FeignClient
- 단기개발자코스
- 개발자 취업
- 전략패턴 #StrategyPattern #디자인패턴
- 취업리부트코스
- spring batch 5.0
- 개발자부트캠프추천
- Python
- jwt
- infcon 2024
- 99클럽
- 프로그래머스
- DesignPattern
- 구글 OAuth login
- jwttoken
- 디자인 패턴
- TiL
- 빈 충돌
- 인프콘 2024
- 빈 조회 2개 이상
- 파이썬
- 디자인패턴
- Spring multimodule
- 1주일회고
- KPT회고
- JavaScript
- 코딩테스트 준비
- 프로그래머스 이중우선순위큐
- Today
- Total
m1ndy5's coding blog
99클럽 코테 스터디 1일차 TIL 해시 : 프로그래머스 LV.2 전화번호 목록 with Python 본문
99클럽 코테 스터디 1일차 TIL 해시 : 프로그래머스 LV.2 전화번호 목록 with Python
정민됴 2024. 5. 20. 21:51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577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는 위쪽에서!
문제 분류는 해시로 되어 있지만 정렬을 사용해서 푼 문제이다.
def solution(phone_book):
answer = True
# phone_book 정렬
phone_book.sort()
for i in range(len(phone_book)-1):
pre = phone_book[i]
# 앞 번호가 뒷번호의 앞과 같다면
if phone_book[i+1][:len(pre)] == pre:
answer = False
break
return answer
phone_book에 저장되어 있는 번호들은 문자열이고 따라서 phone_book을 정렬하게 되면 숫자대로 정렬되는 것이 아닌 119 11920 2 이런식으로 정렬되게 된다.
코드는 간단했는데 더 짧은 쪽이 앞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앞 번호가 뒷번호의 앞자리와 같다면 False를 return하는 방식으로 풀었다.
이 문제가 조금 특이했던 점은 분류가 hash로 되어있다는 점이었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해시로 풀었지?? 궁금해서 다른 사람들의 코드를 좀 참고했다.
def solution(phone_book):
# 1.Hash map생성
hash_map = {}
for nums in phone_book:
hash_map[nums] = 1
# 2.접두어가 Hash map에 존재하는지 찾기
for nums in phone_book:
arr = ""
for num in nums:
arr += num
# 3. 본인 자체일 경우는 제외
if arr in hash_map and arr != nums:
return False
return True
풀이 방법은 일단 phone_book에 있는 모든 번호를 key값으로 저장하고
phone_book에서 번호를 하나씩 꺼내고 그 번호의 숫자를 하나씩 분리해가며 key값으로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방식이었다.
ex) 119 2 11920 이 있으면 dictionary에 {"119":1, "2":1, "11920":1} 이렇게 저장되고
11920 차례가 왔다고 가정 -> arr = 1 이 key값에 있는지 확인 -> arr = 11 이 키값에 있는지 확인 -> arr = 119 키값에 있어서 False
이렇게 동작하는 방식이었다!
마지막 방법으로는 파이썬이 제공하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었는데
def solution(phoneBook):
phoneBook.sort()
for p1, p2 in zip(phoneBook, phoneBook[1:]):
if p2.startswith(p1):
return False
return True
zip은 각 객체의 원소를 순서대로 접근하는 함수이고 phoneBook[1:]은 2번째부터 시작이니까
1-2, 2-3, 3-4 이런식으로 비교하게 된다.
그리고 뒤에 있는 번호가 앞에 있는 번호로 시작하는지를 확인하는 startswith() 함수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해결되는 문제였다!
'알고리즘 with python > 알고리즘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99클럽 코테 스터디 3일차 TIL 스택/큐 : 프로그래머스 LV.2 기능개발 with Python (0) | 2024.05.22 |
---|---|
99클럽 코테 스터디 2일차 TIL 해시 : 프로그래머스 LV.2 의상 with Python (0) | 2024.05.21 |
LeetCode 110. Balanced Binary Tree with Python (0) | 2024.01.12 |
LeetCode 700. Search in a Binary Search Tree with Python (0) | 2024.01.12 |
LeetCode 938. Range Sum of BST with Python (0) | 2024.01.12 |